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6

Debezium: 데이터베이스 변경 데이터 캡처의 혁신 Debezium은 실시간 로그 관리를 위한 솔루션으로 Kafka 플랫폼을 분석하다가 알게되었습니다. 데이터 중심 환경에서는 데이터가 끊임없이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활용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Debezium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설계된 오픈 소스 플랫폼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변경 사항을 캡처하고 이를 스트리밍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실시간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Debezium의 개념, 주요 기능, 활용 사례, 그리고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ebezium이란 무엇인가요? Debezium은 "Change Data Capture(CDC)"를 구현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삽입, 업데이트, 삭제와 같은 변경 사항을 캡처하여 스트리밍 이벤.. 2025. 4. 10.
데이터베이스 링크(DBLink)에 대한 이해 오늘날 많은 시스템이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며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공유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이러한 상황에서 등장하는 강력한 도구 중 하나가 바로 "DBLink(Database Link)"입니다. 안전기능 컨설팅을 수행하다보면 종종 식별되는 위험요소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DBLink의 개념, 장단점, 그리고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예시를 들어가며 설명드리겠습니다.또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유사한 기능과 개념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DBLink란 무엇인가요? DBLink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른 데이터베이스로 연결을 설정하여 원격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직접 조회하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이는 동일한 데이.. 2025. 4. 10.
"리스크(Risk)"와 "위험"의 구분 컨설팅을 하다 보면 "Risk analysis"라는 용어가 국내에서 종종 "위험 분석"으로 번역되는 경우를 접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는 엄밀히 말해 적절하지 않은 번역이라는 의견이 자주 제기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관점에서 "리스크"와 "위험"의 차이점을 명확히 구분하고, 이를 프로젝트나 시스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려 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두 용어는 다음과 같은 차이와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1. 리스크 (Risk)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서 리스크는 불확실성에 기반한 잠재적인 사건으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모두 포함합니다.이는 예상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반드시 발생하지는 않을 수 있으며, 적절한 대응과 관리가 .. 2025. 3. 28.
윈도우11에서 미사용 블루투스 장치 제거 윈도우11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블루투스 장치를 컴퓨터 목록에서 제거하려고 하면 명령창에서 찾아 설정을 실행하고  설정 화면에서 Bluetooth 및 장치 화면에서 장치추가를 클릭하고 제거하려고 하는 장치 옆 드롭다운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제거 버튼이 보입니다. 블루투스 장치를 켜면 연결 및 제거 버튼 활성화되고 제거 버튼을 클릭하면 블루투스 장치가 제거됩니다.  귀찮아서 미루고 있던 컴퓨터에 등록되어 있는 Bluetooth 장치 목록을 정리를 하니 개운하네요. 2025. 2. 20.
728x90